| [추천]2021 KERIS 심포지엄 및 글로벌 네트워킹 위크(~11/26) | date. 2021.11.17 | view. 12,592 | 
2021 KERIS 심포지엄 및 글로벌 네트워킹 위크

※ 게임 체인저로서 디지털교육이 정책, 거버넌스, 기술, 교육 현장 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 국내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 | 
※ 국제기구, 교류협력국, 글로벌 교육현장의 정책 추진 사례 및 공유를 통해 코로나 시대 디지털교육의 역할 및 글로벌 영향에 대한 논의, 미래교육 방향 제시  | 
- 세부 프로그램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▶ 바로가기 : keris2021.net
구분  | 1일차  | 2일차  | 3일차  | 4일차  | |
11.23(화)  | 11.24(수)  | 11.25(목)  | 11.26(금)  | ||
개회  | 환영사 및 축사 (KERIS 원장, 교육부총리, 국가교육회의 의장,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)  | ||||
기조 연설  | ・ 「언택트 교육의 미래」- Justin Reich(MIT 미디어랩 비교미디어연구학 교수) ・ 「교육 패러다임을 바꾸는 미래기술 트렌드」-정지훈(EM.Works 대표)  | ||||
주제  | The Game Changer: Digital Education!  | Global Impact of Digital education!  | |||
Collective Futures: Agenda for Change  | Global Companions toward Collective Futures  | The Power of Education: Why Teachers Matter  | |||
내용  | 「KERIS 심포지엄」 트랙  | 「국제기구」 트랙  | 「교류협력국 트랙」  | 「글로벌 수업교류 트랙」  | |
정책과 실행   디지털전환 현황, 거버넌스, 디지털리터러시 원격교육, AI, 데이터 분석, 스마트시티, 메타버스 등 연구성과 공유  | 유네스코 : Futures of Education - 인본주의적 관점 세계은행 : Fewrithe the Future - 학습 결손 해소 유네스코 방콕 : Are we .on track? - 아태지역의 SDG4-교육2030 경과  | 세르비아 한국의 정책 자문을 통한 세르비아 교육기술 발전 사례   우간다 : 민관협력을 통한 아프리카 학습 환경 개선 사례   엘살바도르 : 한국 기술 이전과 엘살바도르 EMIS 구축 사례  | 실천사례 공유 (디지털프로미스) 혁신학교 리그  | ||
메인 이벤트  | 갤러리 워크 (국제기구 및 유관기구 주요사업 전시 갤러리 운영)  | ||||
폐회  |    | 폐회  | |||
형식  | 메타버스/유튜브  | 유튜브  | |||
- 2021 KERIS 심포지엄 및 글로벌 네트워킹 위크 운영사무국 : 02-6395-3127
| [추천]제2회 국민참여재판 콘텐츠 공모전 대국민 심사 개최 이벤트(~12.. | 씽굿 | 2021.11.25 | 12,454 | |
| [추천]2021 KERIS 심포지엄 및 글로벌 네트워킹 위크(~11/26.. | 씽굿 | 2021.11.17 | 12,592 | |
| [추천공모전]교보문고 롯데컬처웍스 SF 테마공모전(~12/28) | 씽굿 | 2021.11.12 | 12,333 | 
